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헬렌 아무주

조회 377

2024부산비엔날레 2024-12-03 13:40

헬렌 아무주

<자동초상, 몰렌베크 #93>, 2008/2024, 아날로그 사진, 바리트지에 잉크젯 프린트, 75x50cm.

<자동초상, 몰렌베크 #14>, 2008/2024, 아날로그 사진, 바리트지에 잉크젯 프린트, 75x50cm.

<자동초상, 몰렌베크 #55>, 2008/2024, 아날로그 사진, 바리트지에 잉크젯 프린트, 50x50cm.

<자동초상, 몰렌베크 #26>, 2009/2024, 아날로그 사진, 바리트지에 잉크젯 프린트, 50x50cm.

<자동초상, 몰렌베크 #92>, 2009/2024, 아날로그 사진, 바리트지에 잉크젯 프린트, 50x50cm.

<자동초상, 몰렌베크 #30>, 2009/2024, 아날로그 사진, 바리트지에 잉크젯 프린트, 75x50cm.

<자동초상, 몰렌베크 #61>, 2009/2024, 아날로그 사진, 바리트지에 잉크젯 프린트, 50x50cm.

<자동초상, 몰렌베크 #62>, 2009/2024, 아날로그 사진, 바리트지에 잉크젯 프린트, 50x50cm.

<자동초상, 몰렌베크 #95>, 2009/2024, 아날로그 사진, 바리트지에 잉크젯 프린트, 50x50cm.

<자동초상, 몰렌베크 #94>, 2010/2024, 아날로그 사진, 바리트지에 잉크젯 프린트, 50x50cm.

<자동초상, 몰렌베크 #37>, 2010/2024, 아날로그 사진, 바리트지에 잉크젯 프린트, 50x50cm.

<자동초상, 몰렌베크 #96>, 2011/2024, 아날로그 사진, 바리트지에 잉크젯 프린트, 50x50cm.

<자동초상, 몰렌베크 #97>, 2011/2024, 아날로그 사진, 바리트지에 잉크젯 프린트, 50x50cm.

<자동초상, 몰렌베크 #98>, 2011/2024, 아날로그 사진, 바리트지에 잉크젯 프린트, 50x50cm.

<토고#1>, 2011/2024, 디지털 사진, 바리트지에 잉크젯 프린트, 50x50cm.

<자동초상, 소피의 집 #1>, 2017/2024, 아날로그 사진, 바리트지에 잉크젯 프린트, 50x50cm.

<자동초상, 리에주 #4>, 2019/2024, 아날로그 사진, 바리트지에 잉크젯 프린트, 50x50cm.

<자동초상, 리에주 #14>, 2019/2024, 아날로그 사진, 바리트지에 잉크젯 프린트, 50x50cm.

<자동초상, 리에주 #29>, 2019/2024, 아날로그 사진, 바리트지에 잉크젯 프린트, 50x50cm.

<그동안 #13>, 2021/2024, 아날로그 사진, 바리트지에 잉크젯 프린트, 50x50cm.

 

헬렌 아무주의 사진 작업은 자화상의 형식을 취한다. 작가는 초기에 이를 불편하게 여기기도 했으나, 이러한 불편은 늘 어딘가에 끼인 이민자로서의 삶을 살던 작가가 진정으로 자신의 자리를 찾게 했고, 주변 환경을 인식하게 했으며, 곧 작가의 주된 작업 방식이 되었다. 작가의 사진 시리즈 <자동초상>(2008-2019/2024)과 <그동안>(2021/2024)은 암실에서 탄생했다. 작품 이미지들에서 감지되는 낯선 심상들은 우연과 노출이 작용한 결과로, 아날로그 필름에서 허용되는 시각적 일시성을 물질적으로 포착한 것이다. 한편 일부 사진은 콜라주와 같은 측면을 보이기도 한다. 이처럼 사진 매체를 이용한 순간적이고 유령 같은 이미지들은 작가의 사회정치적 비가시성을 다양한 실내 풍경에서 잊히지 않는 존재로 만들며, 작가와 작가의 신체를 드러낸다. 이 유령과 같은 모습은 사진 매체에 관한 은유이자, 이미 정해지거나 투영된 역할을 수행하는 자아에 대한 은유이다. 아무주의 시리즈는 또한 주로 스튜디오에서 주인공이 퍼포먼스적인 태도로 스스로 구성한 정체성으로 등장하는 초상화의 전통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아무주가 사용하는 꾸미지 않은 실내와 상징적인 사물들-여행 가방, 망명 당시 작가가 들고 다녔던 소지품, 토고 방문에서 돌아올 때 가져온 장신구, 천, 가족의 기념품 등-을 통해 관습적 초상 사진의 연극적 ‘자기 연출'에 모종의 해체를 제시하며, 이는 작가와 그의 조국, 작가와 그가 원래 속했던 문화와의 변화된 관계를 방증한다.

 

 

 

 

 

헬렌 아무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