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한 멍윈

조회 386

2024부산비엔날레 2024-12-03 13:40

한 멍윈
<밤의 수트라>, 2024, 다매체 설치; 3채널 4K 디지털 비디오, 컬러와 흑백, 스테레오 사운드, 43분 41초; 알루미늄 조각, 동족 직물, 스테인리스 스틸 벤치, 가변크기.
 
<밤의 수트라(Śarvarīsūtra, शर्वरीसूत्र, 2024)>는 한 멍윈의 첫 장편 영상 작품으로, 열린 자궁의 형태를 상징적으로 형상화한 동(侗) 직물 설치와 하나의 쌍을 이룬다. 산스크리트어로 śarvarī (शर्वरी, 샤리와리)는 ‘밤’과 ‘여성’ 모두를 의미한다. <밤의 수트라>는 이 이중 의미를 발전시키며, 여성의 노동, 보편적인 고통, 공유된 초문화적(transcultural) 유산, 종교 및 문학에서 여성을 재현하는 방식을 통해 상호 교차성을 탐구한다. 이 작품은 중국 구이저우성의 달리 동(侗) 마을부터 캄보디아의 프놈펜과 시엠립, 영국 런던, 스위스 브베까지 총 네 개의 국가에서 촬영되었다. 서로 다른 배경을 지닌 여성들이 공통의 발화 행위로 상호 연결되며, 이 발화는 고대와 현대를 넘나드는 다양한 언어 속에서 펼쳐진다. 산스크리트어 'sūtra (सूत्र, 수트라)'는 서로 엮인 가르침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작가는 불교 경전의 목판 인쇄 형식을 본떠 작업하여, 무빙 이미지를 통해 일련의 요소들을 연결한다. 망명, 디아스포라, 회복 및 반란에 관한 이야기들은 세대 간 여성성과 모성, 산후 우울증, 여성 존재의 신체적 고통을 숙고해온 작가의 정신분석 세션에 기록된다. 이는 불교 내에서 거의 논의되지 않는 여성 혐오에 대한 비평을 포함하기도 한다. 나아가, 직물 설치 ‘자궁 (निशागर्भ, niśāgarbha, 니샤가르바)’은 검은색을 자궁의 어둠에 빗대어 숭배하는 중국의 캄/동족(侗族) 여성들이 제작한 광택을 띠는 전통 직조물을 사용함으로써 어둠을 재맥락화한다. 작가는 문화적 지역성과 여성 신체에 대해 발화하는 개별적 특수성을 기반으로 한 페미니스트 비평의 시각으로 다양한 예술적, 지적 전통과 종교에 깊이 개입하여 엘렌 식수(Hélène Cixous)의 ‘여성적 글쓰기(écriture féminine)’를 실천한다.
 
 
 
 
 
한 멍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