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정유진

조회 376

2024부산비엔날레 2024-12-03 13:39

정유진
<망망대해로>, 2024, 부서진 미술관 가벽, 고장난 드론, MDF 합판, 시멘트, 스테인리스 스틸 파이프 외 혼합재료, 가변크기.
 
정유진의 <망망대해로>(2024)는 일시적으로 난파된 해적선과도 같다. 17세기 중앙아메리카를 향하던 선장 프랑수아 롤로네(François l'Olonnais)의 해적선은 역행하는 바람, 조류, 밀려드는 불운을 마주하다 끝내 난파하게 된다. 롤로네는 배를 부수고 그 목재를 이용해 보트를 만들기로 한다. 이후 해적 규율에 규정된 민주적인 조항에 따라 부하들에게 자신을 따라 니카라과 운하로 항해를 계속할 것인지, 온두라스만에 남을 것인지를 투표로 결정하도록 했다. 이러한 해적선은 질병, 가난, 굶주림같이 무자비하고 촘촘한 현실의 재난에 고통받던 사람들에게는 일종의 해방의 공간이었다. 그러나 자본의 구조와 시스템의 격차 속에서 자꾸만 어긋나고 불안정한 지금의 현실은 일시적 해방의 공간이라 할 수 있었던 해적선마저 난파시켜 버린 것만 같다. <망망대해로>에서 파괴된 벽과 해체된 흔적은 다시 바다로 나아갈 수 있는 보트가 되었고, 바닥은 여전히 끝없이 휘청거리는 거대한 파도와 같이 울렁인다. 눈앞의 잔해는 현실 감각을 요동치게 하며, 상상의 항해를 부추긴다. 해적이 인간의 두개골, 도끼, 엇갈려 놓은 총 등의 도상으로 봉인한 맹세는 지금 이곳의 항해에도 이어진다.
 
 
 
 
 
정유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