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368
2024부산비엔날레 2024-12-03 13:38
<새조 in 화원도>, 2021, 낙타울 위에 혼합매체, 160x123cm.
<화공두원 더하기 고슴도치위(蝟) 인(in) 에그플렌트 전(田)>, 2022, 아사천 위에 혼합매체, 돌 오브제, 146x124cm.
<까마귀 점심식사도>, 2013, 인디아 코튼 위에 구슬과 먹, 혼합매체,141x92.5cm.
<건 셀러 픽콕도>, 2023, 카디천 위에 젯소, 유성 페인트, 유채, 아크릴릭 잉크, 아크릴 물감, 과슈, 112x140cm.
<트럭아트st 옐로우 썹머린>, 2023, 카디천에 페인트, 오일파스텔, 먹, 아크릴 물감, 과슈, 혼합매체, 112x198cm.
<불타+냉장고>, 2015, 80년 전 할머니가 짠 무명 천에 울 실 스티치와 혼합매체, 69x33cm.
<호박밭 호박머리 화공>, 2020, 아사천 위에 잉크, 과슈, 아크릴 물감, 유채, 168x91.5cm.
<여우와 벌레의 간교한 신경전>, 2013, 대나무 천 위에 먹과 혼합매체, 126.5x114cm.
<히말라야 화원을 달리는 나의 트럭>, 2023, 카디천 위에 젯소, 유성 페인트, 유채, 아크릴릭 잉크, 아크릴 물감, 과슈, 114x182cm.
이두원은 ‘재료에는 귀천이 없다’고 여기는 작가는 현지에서 구한 양털, 삼베, 캐시미어, 네틀, 리넨, 마, 종이, 카펫의 뒷면 등 다채로운 소재 위에 털실, 오브제, 먹 등을 사용해 자신이 보고 느낀 세계를 그림으로 남긴다. “나는 밑그림을 그리지 않는다. 자연과 경험, 별만큼 무수한 재료에서 나오는 에너지들이 내 안의 ‘그림 극장’을 가동한다. 영화처럼 이미지들이 머릿속을 지나가면 그 장면을 즐기면서 시 쓰듯 표현한다. 예술 이론가나 예술 과학자가 많은 현대미술의 장 안에서 나는 그저 그림만 그리는 들개 같은 화가다.” 인간과 동물, 자연, 우주는 결국 하나라는 일원론적 세계관에서 출발한 작업은 특유의 해학적 코드가 더해져 웃음과 울림을 동시에 준다.
이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