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384
2024부산비엔날레 2024-12-03 13:37
<말벌집>, 2024, 하프 미러 플렉시글라스, 스테인리스 스틸, 가변크기.
카를라 아로차와 스테판 슈라넨의 신작 <말벌집>(2024)은 그들의 주된 작업 재료인 플렉시 글라스로 제작된 창문 형태 조형물 수백 개로 구성된다. 부산현대미술관 천장에서부터 베일처럼 복잡한 배치로 설치된 이번 작품은 격자 구조의 콘크리트 기둥 밑 한구석의 독특한 공간을 침투하여 점유한다. <말벌집>은 아로차와 슈라넨이 작업 중인 베일 형태의 ‘약탈자’로 불리는 설치 연작 중 하나로 도둑, 해적, 침입자, 혹은 말벌처럼 도덕적으로 모호한 존재들을 가리킨다. <말벌집>은 작품이 관람객에게 특정한 감상 위치를 제시하는지, 혹은 작품 앞에 선 관람객이 관찰자라는 시점에서 벗어나 스스로 적절한 위치를 찾아내는지 질문한다. 관람객은 그 베일의 숨김 없는 접근에 동화되며, 휩쓸리고 투영된다. 플렉시 글라스의 소재는 빛의 조건과 관객의 위치에 따라 독특한 영화적 장면 혹은 관객을 현혹하는 움직임을 만들어 낸다. <말벌집>은 전시장 조도의 변화를 포함한 여러 변수를 마치 흡혈귀처럼 빨아들이고, 공간을 점유한다기보다 그야말로 집어삼킴으로써 작품에 순간성을 더한다. 마치 다소 외진 곳에서 말벌집을 맞닥뜨리는 것이 두려운 경험이 될 수 있듯 아로차와 슈라넨의 작품에 비친 조각난 형상은 모종의 불안감을 조성한다.
카를라 아로차 & 스테판 슈라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