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363
2024부산비엔날레 2024-12-03 13:36
<눈>, 2001/2024, 피그먼트, 가변크기.
카를라 아로차의 <눈>(2001/2024) 앞에서 관객은 하얗게 비어있는 전시장 벽을 마주하게 된다. 어느순간 관객은 벽면에서 돌출되는 세 가지 색상을 인지하기 시작하는데, 볼란테(mouches volantes, 부유물)처럼 보이기도 하는 이 세 가지 색상이 실제로 벽에 묘사된 것인지 혹은 환영인지 확신이 서지 않는다. 이 희미하게 드러나는 삼원색은 눈(雪)에서 반사되는 빛을 광학적으로 해석한 것이다. 설맹증은 시력의 사각지대에 있는 죽은 시세포를 보게 하는 질환이다. 아로차의 이 작품은 빛을 감지하는 생체적 과정과 동공이 빛에 반응하는 방식, 즉 우리가 볼란테를 볼 때 실제로는 죽은 세포를 ‘본다’는 사실을 가시화 한다. <눈>을 바라볼 때, 우리 자신의 죽음이 우리에게 죽음의 어렴풋한 단면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공포와 욕망은 서로 수렴된다.
카를라 아로차 & 스테판 슈라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