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프레드 모튼 & 스테파노 하니 with 준 리

조회 330

2024부산비엔날레 2024-11-25 10:11

프레드 모튼 & 스테파노 하니 with 준 리
프레드 모튼은 뉴욕대학교 티쉬 예술대학의 퍼포먼스학과 및 비교문학과 교수로, 흑인학, 시학, 비평 이론 분야에서 강의하고 연구한다. 스테파노 하니는 교사이자 작가로, 현재 쾰른 미디어 아카데미에서 횡단 미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들은 『언더커먼즈: 일시적 계획과 흑인 연구』(2013)와 『올 인컴플리트』(2021)의 공동 저자이며 흑인 급진주의 전통의 연구자이자 르 마르디 그라 리스닝 콜렉티브(Le Mardi Gras Listening Collective)의 일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 이들은 미국과 캐나다를 오가며 의사, 교육자이자 시각 예술가로 활동 중인 준 리와 함께 공동의 창작물을 선보인다.
   
    
플레이리스트
 
 
출품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