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프레드 베르보에츠

조회 332

2024부산비엔날레 2024-11-25 10:08

프레드 베르보에츠
프레드 베르보에츠는 코브라 그룹의 특징을 반영한 개성 있는 신표현주의 회화를 발전시켰으며, 1990년대 초부터는 에칭 작업도 진행해 왔다. 자신의 ‘혼란스러운 우주’에 사생활을 비롯해 인류의 열정, 외로움, 절망 등과 같이 일상에서 얻게 되는 인상 등을 작가 스스로의 존재 이미지로 표현한다. 베르보에츠가 보기에 인류는 때로 다정하고, 부드럽기도, 신랄하게 공격적이기도, 기쁨으로 황홀경에 빠져 있기도, 깊은 인간적 슬픔에 빠져 있기도 하지만, 늘 억제할 수 없는 생명력에 이끌린다. 작가는 자신의 회화, 에칭, 드로잉들을 외설스러운 괴물과 왜곡된 형상으로 가득 채우지만 훈계의 목적을 띠지는 않는다.
  
 
 웹사이트
  
 
 
출품작품